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214 lines (166 loc) · 9.36 KB

README.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214 lines (166 loc) · 9.36 KB

ticket_reservation_v2

멀티스레드 티켓 예매 서버 구현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아쉬웠던 점들을 개선하여 low latency 서버를 다시 한 번 만들어보고자 한다.

개선할 점

spring webflux를 활용한 Web Application Server의 동시성 향상

기존에 구현했던 WAS는 spring MVC를 이용해 만든 것으로, 순간적으로 많은 수의 요청이 들어왔을 때 비효율적으로 많은 스레드를 사용하게 되고, blocking I/O를 기반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latency도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적은 수의 자원으로 높은 동시성을 갖출 수 있는 spring webflux를 사용해 WAS를 구현한다.

redis distributed lock을 이용한 공유자원 관리

기존에는 queue consumer를 한 대만 두어 하나의 프로세스 안에서만 공유 자원 관리를 했었다. 하지만 성능을 더욱 높이고 latency를 줄이기 위해서는 consumer를 동시에 여러 개 돌려야 할텐데, 그렇게 했을 때에는 여러 프로세스에 걸친 공유 자원 관리 전략이 필요했다. redis에 구현되어 있는 distributed lock을 이용해 데이터의 결함 없이 공유 자원을 관리한다.

k8s를 이용한 container orchestration

low latency를 위해서는 들어오는 트래픽에 따라 WAS 및 worker의 replica 수를 동적으로 조절하는 container orchestration 전략이 꼭 필요하다. k8s를 이용해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여 변화하는 트래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클러스터를 구축해본다.

구현

spring webflux + redisson

redisson은 여러 종류의 redis client를 제공하는데, 그 중 reactive programming 방식을 따르는 reactive client도 존재한다. 이 client를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redissonService를 만들고, 이를 이용해 작성한 티켓 예매 관련 핵심 로직은 아래와 같다.

    val countMono = redissonService.getAtomicLong("count")
    
    return countMono.get().flatMap { count ->
        if (count >= Constants.MAX_RESERVATION_COUNT) Mono.just(false)
        else reserveDtoMono.flatMap { reserveDto ->
            userIdMono.flatMap { userId ->
                reservationRepository.save(Reservation(userId = userId, number = reserveDto.number)).flatMap {
                    countMono.getAndSet(count + reserveDto.number).flatMap {
                        Mono.just(true)
                    }
                }
            }
        }
    }

redissonClient에서 제공하는 연산들은 atomicity를 보장하기 때문에 멀티 프로세스 환경에서도 데이터의 결함이 없음을 보장받을 수 있다.

k8s cluster 구축

k8s cluster를 구성하는 pod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 api server (embedded netty server)
  • redis
  • mysql

이 중 redis와 mysql은 type이 clusterIP인 service로 노출시켰고, api server는 service의 타입을 nodePort로 지정해 ingress를 통해 클러스터 외부로 노출시켰다.

~/ticket_reservation_v2 # kubectl get svc
NAME                       TYPE        CLUSTER-IP     EXTERNAL-IP   PORT(S)        AGE
kubernetes                 ClusterIP   10.27.240.1    <none>        443/TCP        2d5h
mysql                      ClusterIP   None           <none>        3306/TCP       2d4h
ticket-reservation-api     NodePort    10.27.247.42   <none>        80:31528/TCP   6h1m
ticket-reservation-redis   ClusterIP   None           <none>        6379/TCP       7h14m

테스트

부하 테스트

동시에 1000개의 요청을 보내 얼마만큼의 시간이 걸리는지 테스트해보았다.

@Test
    fun stress_test() {
        val restTemplate = RestTemplate()
        val stopWatch = StopWatch()
        val requestBody = ReserveDto(3)
        val headers = LinkedMultiValueMap<String, String>()
        headers["userId"] = "3"

        stopWatch.start()

        runBlocking {
            repeat(1000) {
                launch {
                    val response = restTemplate.exchange<String>(
                        "http://34.120.87.126/reservation",
                        HttpMethod.POST,
                        HttpEntity(requestBody, headers),
                        String::class.java
                    )
                }
            }
        }

        stopWatch.stop()
        println(stopWatch.totalTimeSeconds)
    }

테스트 결과:

api pod의 replica 수가 1개일 때

> Task :compileKotlin
> Task :compileJava NO-SOURCE
> Task :processResources UP-TO-DATE
> Task :classes UP-TO-DATE
> Task :compileTestKotlin
> Task :compileTestJava NO-SOURCE
> Task :processTestResources UP-TO-DATE
> Task :testClasses UP-TO-DATE
> Task :test
79.035465377
BUILD SUCCESSFUL in 1m 22s

api pod의 replica 수가 5개일 때

> Task :compileKotlin
> Task :compileJava NO-SOURCE
> Task :processResources UP-TO-DATE
> Task :classes UP-TO-DATE
> Task :compileTestKotlin
> Task :compileTestJava NO-SOURCE
> Task :processTestResources UP-TO-DATE
> Task :testClasses UP-TO-DATE
> Task :test
89.596828294
BUILD SUCCESSFUL in 1m 31s

다수의 request를 모두 처리하는 데 걸리는 총 시간은 replica 갯수가 늘어남에 따라 크게 이득을 보는 것 같지는 않다.

max latency 테스트

사실 1000개의 요청을 모두 처리하는 데 얼마만큼의 시간이 걸리는 지는 서버의 성능을 평가하는 아주 직접적인 지표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보다는 각각의 요청을 얼만큼 빨리 처리해내느냐가 더욱 확실한 지표일텐데, 그런 의미에서 1000개의 요청 중 latency가 가장 긴 요청의 latency는 얼마나 되는 지를 측정하는 테스트 코드를 작성했다.

@Test
    fun max_latency_test() {
        val restTemplate = RestTemplate()
        val requestBody = ReserveDto(3)
        val headers = LinkedMultiValueMap<String, String>( )
        headers["userId"] = "3"

        val mutex = Mutex()
        var maxLatency = 0L

        runBlocking {
            repeat(1000) {
                launch {
                    val start = System.currentTimeMillis()
                    val response = restTemplate.exchange<String>(
                            "http://34.120.87.126/reservation",
                            HttpMethod.POST,
                            HttpEntity(requestBody, headers),
                            String::class.java
                    )
                    val end = System.currentTimeMillis()

                    mutex.withLock {
                        if (end - start > maxLatency) maxLatency = end - start
                    }
                }
            }
        }

        println("max latency: $maxLatency ms")
    }

coroutine을 이용해 테스트 코트를 작성했기 때문에 모든 coroutine이 공유하는 maxLatency 변수는 mutex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상호 배제적으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코드를 작성했다.

테스트 결과 :

replica 수가 1개일 때

> Task :compileKotlin
> Task :compileJava NO-SOURCE
> Task :processResources UP-TO-DATE
> Task :classes UP-TO-DATE
> Task :compileTestKotlin
> Task :compileTestJava NO-SOURCE
> Task :processTestResources UP-TO-DATE
> Task :testClasses UP-TO-DATE
> Task :test
max latency: 3058 ms
BUILD SUCCESSFUL in 1m 20s

replica 수가 5개일 때

> Task :compileKotlin
> Task :compileJava NO-SOURCE
> Task :processResources UP-TO-DATE
> Task :classes UP-TO-DATE
> Task :compileTestKotlin
> Task :compileTestJava NO-SOURCE
> Task :processTestResources UP-TO-DATE
> Task :testClasses UP-TO-DATE
> Task :test
max latency: 277 ms
BUILD SUCCESSFUL in 1m 31s

replica 갯수를 늘림에 따라 max latency 값이 현저하게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redis의 분산락을 이용해 데이터의 결함 없이 공유 자원을 관리하는 동시에, 멀티 프로세스 환경으로 latency를 확실히 낮출 수 있음을 확인했다.

결론

spring webflux를 이용해 높은 동시성을 갖춘 서버를 구축할 수 있었고, latency를 낮추기 위해 다수의 프로세스를 작동시키는 환경에서 redis를 이용해 공유 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학습해보았다. spring webflux가 spring MVC에 비해서 가지는 장점을 체감해볼 수 있었고, redisson이 제공하는 atomic한 연산들의 도움을 받아 손쉽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서버의 latency를 낮추기 위해서는 어느 부분에 신경을 써야하는 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해볼 수 있는 실습이었다고 생각한다.

추가로 개선할 점

persistent layer는 언제나 커다란 병목 지점으로 남아있는데, disk I/O로 인한 성능 저하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법으로 IMDG (in-memory data grid) 를 고려할 수 있다. IMDG는 인메모리 db를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데이터베이스로 하고, 분산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데이터의 신뢰성과 메모리 크기의 한계를 보완한 기술이다. 이를 활용하면 전체적인 latency가 확실히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지만, hazelcast 등 현재 나와 있는 IMDG 솔루션들은 reactive programming 방식에 대한 integration이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 같다. hazelcast에서 reactor framework와의 integration을 지원하게 되면 그때 다시 적용을 검토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