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36
논리적 사고를 기르는 알고리즘 수업(2024.12.06)
Ch 13 문제 4 모순 ~ 6
- 성큼이
- 졸리다
- 잠이 좀 부족하다
- 문제 잘 풀어봤으면
- 상호
- 좋다
- 여전히 건강하게 살고 있음
- 한 문제라도 꼭 풀어봤으면
- Wayne
- 무난
- 바쁘게 지내는 중
- 문제 잘 풀고 갔으면
- [모순]
$p \land \neg p \equiv false$
= { (13.5) }
= { 전건 긍정 }
= {
- [분배법칙]
$p \land (q \equiv r \equiv s) \equiv p \land q \equiv p \land r \equiv p \land s$
우선
= { 황금률 }
= { (13.9) 분배법칙 }
= { 항 재배치 }
= { 황금률 }
= { 위 보조정리에
= { 위 보조정리에
- 십진법으로 적힌 수가 짝수인지 아닌지 판별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단순하게 마지막 숫자가 짝수인지 확인하면 된다. 예를 들어 2437은 홀수이다. 마지막 숫자인 7이 홀수기 때문이다. 이 산술법칙을 수식화하고 증명하라. (힌트:
$2437 = 243 \times 10 + 7$ . 5.3.1절에서 논의한 분배법칙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두 수의 곱이 짝수인지 판별하는 방법을 수식화하고 증명해야 한다.)
=
=
=
=
- 불리언은 단위원이 참, 영원이 거짓, 곱셈이
$\land$ , 덧셈이$\not\equiv$ 인 반환$(Bool, true, false, \land, \not\equiv)$ 을 이룸을 증명하라. 이는 잘 알려진 성질로, 일부 저자는 논리곱 대신 (곱셈처럼 보이는)$\bullet$ 을, 부등호 대신에 (덧셈처럼 보이는)$\oplus$ 를 사용한다. 비슷한 내용의 정리 13.11은 이보다 훨씬 덜 알려져 있다. 사실 이 두 정리는 참과 거짓의 역할을 서로 바꿩 얻은 쌍대 관계의 정리들이다. 비동치와 논리곱의 조합은 종종 데이터 암호화에 사용된다. 쌍대 관계를 통해, 여기서의 동치와 논리합을 대신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Bool, true, \land)$ 은 모노이드다. -
$(Bool, false, \not\equiv)$ 은 대칭적인 모노이드다. -
$false$ 는$\land$ 의 영원이다. -
$\land$ 는$\not\equiv$ 에 대하여 분배 가능하다.
각각을 확인해보면,
-
$true$ 는 논리곱의 단위원이고, 논리곱은 결합법칙을 만족하므로 모노이드가 맞다. -
$false$ 는 부등호의 단위원이고, 부등호는 대칭적고 결합법칙을 만족하므로 대칭적인 모노이드가 맞다. -
$false$ 는 논리곱의 영원이 맞다. $p \land (q \not\equiv r)$
= { 부등호의 정의 }
= { (13.5) 부정 }
= { 논리곱의 분배법칙 }
= {
= { (13.5) 부정 }
= { 부등호의 정의 }
따라서
- 성큼이
- 열심히 문제를 풀어봤다. 감이 돌아오는 느낌
- 특별히 없다
- 함축 쪽 복습
- 상호
- 대략 이해할 수 있었다
- 없다
- 문제를 좀 예습해오겠다
- Wayne
- 진도 좀 나갔다
- 어디에 쓰이는지 잘 모르겠다
- 잘 쉬고 오겠다